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제2차 중앙아시아-중국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김경민 KIEP 세계지역연구 2센터 러시아유라시아팀 전문연구원 2025/06/30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6월 17일 제2차 중앙아시아-중국 정상회의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개최됨.
 - 중앙아 5개국과 중국 정상은 아스타나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협력 증진을 위한 일련의 문건에 서명함.1)
 ㅇ ‘영구적 선린우호협력 조약’을 체결했으며, 기타 문건은 ▵산업, ▵무역, ▵교통·물류, ▵녹색 광물 등 경제협력에 집중되어 있음.2)
 - 이번 정상회의는 중앙아와 중국이 2023년 C5(중앙아 5개국)+1형식의 다자간 정상회의를 최초로 개최한 후 정례적인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임.
 ㅇ 중국은 무역, 교통·물류, 에너지·광물 등 부문에서 중앙아의 주요 협력 파트너로 2024년 중앙아 5개국의 총교역액 중 중국과의 교역액 비중은 약 40%를 차지함.3)
 ㅇ 제3차 중앙아-중국 정상회의는 2027년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임.

□ 이번 정상회의에서 중앙아시아 5개국과 중국은 ‘영구적 선린우호협력 조약’ 체결을 통해 협력 수준을 한층 강화하고, 공동성명을 통해 경제·안보·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발전시키기로 합의함(주요 내용은 표 1. 참고).
 - 영구적 선린우호협력 조약은 장기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정치, 안보,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포괄적 협력 증진을 모색함.4)
 - 중앙아-중국은 아스타나 공동성명을 통해 ▵교통·물류, ▵무역, ▵에너지·자원 등 경제협력을 제고하기로 함.5)
 ㅇ 특히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중앙아 5개국의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 수요가 맞물리면서 중국-중앙아-유럽으로 연결되는 중부회랑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 2023년 채택된 시안 공동성명과 비교했을 때 아스타나 공동성명에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관한 내용이 발전되었고 과학기술 부문 협력이 추가됨.
 ㅇ 아스타나 공동성명에는 시안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는 수준에서 나아가, 대만은 중국의 영토이며 중앙아는 대만의 독립에 반대하고 중국 정부의 대만 재통일 노력을 확고히 지지한다는 내용이 명시됨.6) 
 ㅇ 또한, 중앙아와 중국은 연구소 간 네트워크 구축, 과학기술혁신 포럼 개최, AI 역량강화 등 과학기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함.

표 1. 제2차 중앙아시아-중국 정상회의 주요 내용
1
주: 중앙아시아-중국 정상회담 개최 후 양국 정상이 서명한 공동성명 주요 내용을 재구성한 것임. 
  자료: 인민망(2025. 6. 18), “Астанинская декларация второго саммита “Центральная Азия -- Китай”.”

□ 중앙아는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과의 C5+1 형식의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경제적 실익을 도모하고 주요국 간 균형 외교 실현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중앙아 협력 확대를 위해 한-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의 지속 추진이 필요함.
 - 중앙아 5개국은 중국과 영구적 선린우호협력 조약을 토대로 중국과의 협력 수준을 심화하면서도 주요국과의 등거리 외교를 통한 경제적 실익을 계속 모색할 것임.
 ㅇ 중앙아 5개국은 2022년부터 러시아, EU, 중국, GCC, 미국, 독일, 이탈리아와 C5+1 형식의 정상회의를 개최하여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고 있음. 
 - 한국이 그동안 추진해 온 중앙아 5개국과의 협력을 발전시켜 정상급 다자회의를 개최한다면, 중앙아 내 한국의 입지 공고화와 각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효과가 기대됨.


*각주
1)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езидента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2025. 6. 17), “По итогам Саммита «Центральная Азия – Китай» подписан и принят ряд многосторонних документов.”
2) 녹색 광물은 탄소중립에 필요한 제품(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광물로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이 있음. 경향신문(2022. 1. 31), “탄소중립에 금속 얼마나 필요할까···녹색광물 몸값 고공행진.”
3)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2025. 6. 17), “Президент Казахстана принял участие во втором саммите «Центральная Азия – Китай».”
4) Информационно-правовая система нормативных правовых актов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от 17 июня 2025 года № 915(검색일: 2025. 6. 23).
5) 인민망(2025. 6. 18), “Астанинская декларация второго саммита “Центральная Азия -- Китай.”
6) 인민망(2023. 5. 19), “Полный текст Сианьской декларации саммита "Китай - Центральная Азия".”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